1장. 왜 NoSQL인가? 요점 -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20년 이상 성공적인 기술이고 지속성, 동시성 제어, 통합 메커니즘을 제공한다. -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관계형 모델과 메모리 내 데이터 구조 간의 객체-관계 불일치로 불만이 많다. - 데이터베이스를 통합점으로 사용하는 방식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애플리케이션 안에 캡슐화하고 서비스를 통해 통합하는 방식으로 이동하려는 움직임이 있다. - 데이터 저장소 변화의 중요 요인은 클러스터에서 실행되는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지원해야 한다는 점이었다.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클러스터에서 효율적으로 동작하도록 설계되지 않았다. - NoSQL은 우여한 신조어다. 규정된 정의도 없다. 공통 특징을 살펴볼 수밖에 없다. - NoSQL의 공통 특징은 다음과 같다. - 관계형 ..
프로그래밍/NoSQL

1부(1장 ~ 7장) : NoSQL 핵심 개념, RBDMS와 다른 점 2부(8장 ~ 15장) : NoSQL을 이용한 시스템 구현 1장 : NoSQL이 빠르게 각광받게 된 배경 2장 : NoSQL 세상의 주요 모델 설명 (키-값 모델, 문서 데이터 모델, 칼럼 패밀리) 3장 : 집합 구조의 단점 : 다른 집합 구조에 속하는 엔터티,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4장 : 분산 : 복제(마스터 슬레이브, 피어 투 피어), 샤딩, 일관성 문제 5장 : 일과넝 업데이트, 읽기, 정족수의 역할, 지속성, CAP정리 6장 : 변경 추적, 비일관성 제거를 위한 버전 스탬프 7장 : 병렬 계산, 맵-리듀스 8장 : 키-값 DB의 예시인 리악 사용 9장 : 문서 DB의 예시인 몽고 DB 10장 : 칼럼 패밀리 DB의 예시인 카산드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