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부(1장 ~ 7장) : NoSQL 핵심 개념, RBDMS와 다른 점
2부(8장 ~ 15장) : NoSQL을 이용한 시스템 구현
1장 : NoSQL이 빠르게 각광받게 된 배경
2장 : NoSQL 세상의 주요 모델 설명 (키-값 모델, 문서 데이터 모델, 칼럼 패밀리)
3장 : 집합 구조의 단점 : 다른 집합 구조에 속하는 엔터티, 그래프 데이터베이스
4장 : 분산 : 복제(마스터 슬레이브, 피어 투 피어), 샤딩, 일관성 문제
5장 : 일과넝 업데이트, 읽기, 정족수의 역할, 지속성, CAP정리
6장 : 변경 추적, 비일관성 제거를 위한 버전 스탬프
7장 : 병렬 계산, 맵-리듀스
8장 : 키-값 DB의 예시인 리악 사용
9장 : 문서 DB의 예시인 몽고 DB
10장 : 칼럼 패밀리 DB의 예시인 카산드라
11장 : 그래프 DB의 예시인 네오4j
12장 : 스키마가 있는 시스템과 없는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환 하는 방법
13장 : 다중 저장소 지속성(1어플리케이션 : N데이터 저장소)
14장 : 다중 저장소 지속성 세계의 미래
15장 : 데이터 베이스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도움말
이 책의 핵심 : 이 책은 맛보기다. DB 들의 간략한 개요만 담아, 책의 크기를 줄이려고 노력하여 가장 중요한 정보만 담기 위해 선별. NoSQL 기술을 심도 있게 공부하려면 여기서 다루는 것 이상을 봐야겠지만, 이 책이 좋은 시작점이 되기를 기대
또한 초판 2013년 기준 작성. 기술은 빠르게 진화하므로 시간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중요 개념에 집중
이 책에서 다루는 데이터 베이스
데이터 모델 | 데이터베이스 예 |
키-값(Key-Value) | 레디스, 리악, 멤캐시드, 버클리DB, 레벨DB, 프로젝트 볼드모트 |
문서(Document) | 몽고DB, 카우치DB, 오리엔트DB, 레이븐DB, 테라스토어 |
칼럼 패밀리(Column Family) | 카산드라, H Base, 아마존 심플DB, 하이퍼테이블 |
그래프(Graph) | Neo4j, 플록DB, 하이퍼그래프DB, 인피니트 그래프, 오리엔트DB |
'프로그래밍 > NoSQ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oSQL: 빅 데이터 세상으로 떠나는 간결한 안내서] 1장. 왜 NoSQL인가? (0) | 2023.09.24 |
---|